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 일본 인터넷 & 통신사 비교 가이드|유학생·워홀러 필독!

by SmartJPInfo 2025. 4. 20.

일본에서 생활을 시작하면 가장 먼저 부딪히는 문제가 바로 인터넷과 휴대폰 개통입니다. 통신사는 다양하지만 요금제나 개통 조건이 복잡해 처음 일본에 온 분들은 혼란스럽기 쉽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일본 주요 통신사 및 인터넷 상품을 비교하고, 상황별 추천 조합을 안내해 드립니다.

1. 일본 주요 통신사 비교 (휴대폰)

통신사 요금제(기본) 특징 추천 대상
SoftBank 약 ¥5,000~/월 속도 빠름, 외국인 개통 용이 유학생, 워홀러
au (KDDI) 약 ¥4,800~/월 신용카드 결제 필수, 커버리지 우수 장기 거주자
NTT Docomo 약 ¥5,500~/월 최대 커버리지, 안정성 높음 직장인, 장기 체류
Rakuten Mobile 0~¥3,278/월 데이터 무제한 가능, 외국인도 개통 쉬움 예산 적은 유학생

TIP: 일본에서는 대부분 통신사 개통 시 신용카드가 필요하므로, 카드 없이 입국하는 경우 Rakuten Mobile, UQ Mobile 등의 MVNO(저가 통신사)를 추천합니다.

2. 일본 인터넷 상품 비교

일본 인터넷은 크게 광랜(光回線), 포켓 와이파이, 심플 와이파이로 나뉩니다.

  • NURO 光 (소니 계열): 속도 빠름, 기가급. 설치까지 2~4주 소요
  • au Hikari: 전국 커버리지, 결합 상품 할인 多
  • SoftBank Hikari: 휴대폰 요금과 결합 시 할인
  • 포켓 와이파이 (GMO, UQ WiMAX 등): 설치 없이 바로 사용 가능, 이동성 우수

📌 설치형 vs 포켓 와이파이, 어떤 게 더 좋을까?

유학생이나 1년 미만 단기 거주자라면 포켓 와이파이가 비용과 편의성 면에서 유리합니다. 반면, 장기 체류자이거나 가족과 함께 거주한다면 광랜 설치형을 추천합니다.

3. 유학생을 위한 추천 조합

  • 예산 절약형: Rakuten Mobile + 포켓 와이파이 (GMO WiMAX)
  • 안정성 중시형: Docomo + SoftBank Hikari
  • 단기 체류형: UQ Mobile + 포켓 와이파이 (무약정 상품)

주의사항: 일부 인터넷 상품은 2년 약정</strong이 기본이므로, 계약 기간 확인은 필수입니다. 중도 해지 시 위약금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.

4. 외국인을 위한 개통 팁

  • 신분증: 재류카드 또는 여권 필요
  • 결제 수단: 신용카드 또는 일본 은행 계좌
  • 추천 경로: 공항 개통 부스, BIG Camera 외국인 서비스센터, 온라인 개통

5. 마무리 및 추천

2025년 일본에서의 인터넷과 통신사 선택은 예산, 체류 기간, 필요 속도에 따라 달라집니다. 다양한 상품이 있지만, 외국인 친화적인 서비스 여부계약 조건을 반드시 확인하세요.

추후에는 통신사 별 개통 방법과 구체적인 신청 절차도 정리해드릴 예정이니, 블로그를 북마크 해주세요!

👉 관련 글: 일본 유학생을 위한 출국 전 체크리스트